본문 바로가기
생각

케인즈 "시장은 당신의 상환능력보다 더 오래 비합리적일 수 있다"

by 몽뮤 2022. 7. 12.
"Markets can remain irrational longer than you can remain solvent."
"시장은 당신의 상환능력보다 더 오랫동안 비합리적일 수 있다."
by 케인즈

 

 

 

2020년 초에 발생한 전염병 사태로 인한 주식시장의 대폭락은 전례가 없을만큼 빠르게 회복되었고, 그 과정에서 buy the dip 전략으로 큰돈을 벌었던 개미들은 지나친 낙관주의에 빠져 경계심을 잃어버렸다.

 

그리고 어딘가에서 "전문가"에게 배운, 지나친 낙관주의를 기반으로만 성립할 수 있는 매매법에 자신의 피같은 돈을 쏟아붓는 우를 범하고 말았다.

 

 

혹세무민 하는 가짜 구루들이 설파하는, 빠르고 확실하게 돈을 벌 수 있다는 가짜 진리에 혹하거든 케인즈의 사례를 생각해보자.

 

케인즈는 자신의 뛰어난 이론과 직관과 통찰을 기반으로 경기의 순환을 예측하며 트레이딩을 시도하였으니 결국 두번의 파산을 겪었다. 그리고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하여 장기간 보유하는, 아주 보수적인 전략으로 방식을 전환하여 다시금 큰돈을 벌었다. 그리고 그 보수적인 전략으로 성공하는 와중에도 '시점 선택'은 항상 좋지 못했다.

 

자문해보자.

 

   내가 믿어 의심치 않는 그 전문가는 케인즈보다 똑똑한가?

   내가 믿어 의심치 않는 그 전문가는 케인즈보다 경제 전문가인가?

   내가 믿어 의심치 않는 그 전문가는 케인즈보다 경제에 대한 통찰과 직관이 뛰어난가?

 

 

우리가 투자에 관해 누군가를, 그리고 나 자신을 지나치게 신뢰하는 위험에 쳐해 있다면 다음을 상기하자.

 

  - 경제 및 투자에 관하여 역사상 누구보다 똑똑했던 케인즈는 자신의 경기순환 이론에 기반하여 트레이딩을 시도하다가 파산을 겪었고, 결국 저평가된 주식의 장기투자라는 보수적인 방식으로 투자 방향을 바꿨다.

 

  - 역사상 가장 성공한 투자자인 워렌 버핏의 연평균 수익률은 20% 정도이다.

 

우리가 믿어 의심치 않는 그 전문가 혹은 나 자신이 과연 저 두 사람보다 장기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낼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

 

 

 

 

그 수많은 자신만만한 "투자 전문가"들과 그 많은 투자 기법들이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하락장 앞에서 무너져왔다. 그리고 고작 몇 년이 지났을 뿐인데 이상하리만큼 모든 사람들이 그 기억을 잊는다.

 

투자 분야만큼 역사에 대한 기억력이 짧은 분야가 또 있을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