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버크셔 주주총회의 답변입니다. 영상으로 시청하시려면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세요.
요약
워렌 버핏
- 무역적자를 지고 있다는 것은, 국가가 수출하는 것 이상으로 수입하고 있다는 것이고, 결국 자국의 자산을 파는 것.
- 농장으로 비유하자면, 농장의 일부를 계속 팔면서 다른 물건을 구매하는 것.
- 결국, 자국의 생산량 이상으로 소비하기 위해, 자국의 자산을 매각하는 행위다.
- 다른 나라가 무역적자를 기록할 때 자국 화폐로 빚을 진다면 다행이지만, 달러 화폐로 빚을 진다면 상황은 심각함
- 미국은 무역적자가 상대적으로 괜찮을 수도 있다.
- 달러 표시로 빚을 지더라도 자국의 화폐다.
- 미국은 반시장적 행위로 달러 가치를 훼손한 적이 없으므로, 미국이 달러로 빚을 지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 하지만 결국엔, 장기적으로 쌓인 무역적자는 그 국가 경제에 좋지 않은 요인이다.
찰리 멍거
- 소비재를 수입하기 위해 무역적자를 지는 것은 물론 나쁜 것.
- 하지만 발전소처럼 국가 개발을 위한 투자를 하기 위해 무역적자를 지고 있는 개발도상국은 현명한 판단을 하는 것.
- 미국도 한 때 그런 과정을 거쳤다.
- 하지만 현재 미국은 소비재 지출을 위해 무역적자를 지는 중이다.
워렌 버핏
- 소비재를 위해 무역적자를 지는 것과, 철도나 발전소를 짓기 위해 무역적자를 지는 것은 다른 일이다.
- 현재 미국은 소비재를 위해 무역적자를 지고 있고, 그것은 장기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버크셔 주주총회 > 01 버크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자(moat)는 점점 찾기 어려워지는가? (2001 버크셔) (0) | 2021.12.06 |
---|---|
버핏&멍거| 금융주의 리스크(ex. 패니매, 프래디맥) (0) | 2021.09.27 |
워렌 버핏, 작은 규모의 돈을 투자할 때의 투자법 (0) | 2021.09.07 |
버핏&멍거 "가치와 성장은 구분할 수 없다" (0) | 2021.09.07 |
워렌 버핏, 미국의 실력주의(성과주의) 찬양 (0) | 2021.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