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TD, Year to Date
- 연초부터 시작하여 작성 당일까지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
- 해당 연도의 1월 1일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 당시까지의 변화를 측정하면 된다.
예시
- "코스피 지수가 2091년 1월 1일에 3000이었다. 그리고 2091년 9월 21일 오늘 1500이다. 따라서
YTD 기준으로 -50%를 기록했다."
- "저희 투자 조합은 오늘까지 17%의 수익(YTD 기준)을 올리고 있습니다."
YoY과 YTD의 차이
- YoY는 전년 동기 기준으로 얼마나 변동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
- YTD는 연초 대비 얼마나 변동했는지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
YoY와 YTD의 차이를 보여주는 예시
- 2030년 3분기 코스피 지수는 2000.
- 2031년 1월 1일 코스피 지수는 4000.
- 2031년 3분기 코스피 지수는 6000.
따라서,
- 2031년 3분기 코스피의 YTD 변화율은 +50% (4000 -> 6000)
- 2031년 3분기 코스피의 YoY 변화율은 +200%(2000 -> 6000)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리 멍거 "인간의 정신은 난자와 비슷하다" (0) | 2022.06.29 |
---|---|
가치투자자의 실수: 망해가는 기업에 투자하기 (0) | 2022.06.28 |
Fed의 FOMC가 공개하는 점도표의 의미와 읽는 법 (0) | 2022.06.17 |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의 뜻과 의미는? (0) | 2022.06.15 |
ROAS란 '투입한 광고비 대비 매출액 비율' (0) | 2022.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