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버크셔4

버핏&멍거 | 무역적자의 의미 2001년 버크셔 주주총회의 답변입니다. 영상으로 시청하시려면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세요. 요약 워렌 버핏 - 무역적자를 지고 있다는 것은, 국가가 수출하는 것 이상으로 수입하고 있다는 것이고, 결국 자국의 자산을 파는 것. - 농장으로 비유하자면, 농장의 일부를 계속 팔면서 다른 물건을 구매하는 것. - 결국, 자국의 생산량 이상으로 소비하기 위해, 자국의 자산을 매각하는 행위다. - 다른 나라가 무역적자를 기록할 때 자국 화폐로 빚을 진다면 다행이지만, 달러 화폐로 빚을 진다면 상황은 심각함 - 미국은 무역적자가 상대적으로 괜찮을 수도 있다. - 달러 표시로 빚을 지더라도 자국의 화폐다. - 미국은 반시장적 행위로 달러 가치를 훼손한 적이 없으므로, 미국이 달러로 빚을 지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2021. 9. 8.
워렌 버핏, 작은 규모의 돈을 투자할 때의 투자법 2001년 버크셔 주주총회의 답변입니다. 영상으로 보고 싶으시면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세요. 요약 질문 - 버핏은 1956년부터 1969년까지 최고의 수익률을 거뒀다. - 다우 지수가 연평균 7% 성장할 때, 버핏은 연평균 29% 성장했다 - 당시 버핏은 많이 저평가된 주식을 주로 거래하며, 매매도 다소 잦았다. - 현재의 방식과는 다소 다르다. - 만약 당신이 투자 규모가 작다면 어떤 방식으로 투자할 것인가? 버핏 - 투자 규모가 작더라도 내가 지금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 그 방식이란 미래의 현금흐름에 비해 가장 저평가된 기업을 매수하는 것이다. - 같은 방식이라도 투자 규모가 클 때와 작을 때는 매수할 수 있는 기업의 범위가 다르다. - 투자 규모가 작을 때는 매수할 수 있었던 기업이, 투.. 2021. 9. 7.
버핏&멍거 "가치와 성장은 구분할 수 없다" 2001년 버크셔 주주총회 답변입니다. 영상으로 시청하길 원하시면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세요. 요약 버핏 - 가치와 성장은 구분할 수 없다. - 성장은 가치를 구하는 공식의 일부일 뿐이다. - 성장은 가치에 보통 긍정적인 요소이다. 단, 현재 투입한 자본에 비해 나중에 상당한 현금을 얻을 수 있을 때 그렇다. - 성장은 가치에 부정적일 수 있다. - 성장이 가치에 부정적이었던 대표적인 사례는 항공사업이다. - 항공 사업은 비행기가 발명된 이례로 엄청나게 성장해왔지만, 수익성은 처참했다. 엄청나게 투입되어야 하는 자본의 양에 비하서 수익성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반면 시즈캔디에서 성장은 가치에 긍정적인 요소였다. 성장에 필요한 추가 투입 자본의 양이 적었기 때문이다. - "성장주"와 "가치주.. 2021. 9. 7.
워렌 버핏, 미국의 실력주의(성과주의) 찬양 2001년 버크셔 주주총회의 답변. 영상으로 시청하길 바라는 분들은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세요. 요약 - 미국의 시스템은 실력주의(성과주의)를 기반으로 흘러가고 있다. - 성과주의는 계층 이동을 낳는다. - 그 계층 이동을 통해 뛰어난 인재들이 뛰어난 기업을 창업하거나 경영한다. - 현재의 미국의 뛰어난 경영자들은 물론 다른 나라에서 태어났어도 잘 했겠지만, 현재 미국에서 하고 있는 것만큼 잘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2021.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