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치 위반효과
기대와 예상을 긍정적으로 위반하면 더욱 더 기분이 좋아지고, 기대와 예상을 부정적으로 위반하면 더욱 더 기분이 나빠지는 심리적 현상.
예시
- "금년엔 주가가 떨어지지만 않으면 다행이라고 예상했었는데 5%나 올랐네! 행복해."
- "금년엔 주가가 2배는 오를 거라고 예상했는데 50% 밖에 안 올랐네.. 아오..ㅆ..."
- 원래 싸가지가 없던 사람이 작게 챙겨주면 더욱 감동, 원래 친절하던 사람이 한 번 무심하게 행동하면 더욱 실망.
생각
주식 투자를 할 때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하지 않아야 심리적인 안정을 유지할 수 있음. 그리고 심리적인 안정은 냉철한 판단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 무엇보다 중요함.
모두가 기대하지 않던 -그러므로 주가가 아주 염가인- 기업의 실적이 점차 개선되면 더욱 더 주가가 크게 오름. 단기적으로는 적절한 벨류에이션을 뛰어넘을 정도로.
반대로, 아주 뛰어난 단기 및 장기 실적이 예상되던 기업의 미래 전망이 어두워지면 급격하게 주가가 하락할 수 았음. 예를 들어 2022년 전반기의 넷플릭스.
다른이들이 자신에게 높은 기대를 갖지 않게 할 것.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FMCG란 일용소비재 (Fast Moving Consumer Goods) (0) | 2022.06.13 |
---|---|
국내 증권사들의 IB 부분 차별성 (0) | 2022.06.09 |
SPV 특수목적법인이란? (0) | 2022.06.08 |
SMR이란? 소형모듈원전 Small Modular Reactor (0) | 2022.06.07 |
구글 주식 알파벳A와 알파벳C는 아무거나 사면 된다 (0) | 2022.05.30 |
댓글